허리가 아픈데 디스크 탈출은 없다? 추간판내장증이라는데, 보상받기 어렵나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교통사고 로펌 댓글 0건본문
정경일 변호사의 교통사고 로펌 | |
허리가 아픈데 디스크 탈출은 없다? 추간판내장증이라는데, 보상받기 어렵나요? 자주하는 질문과 답 | |
http://tadlf.com/bbs/board.php?bo_table=page5_2&wr_id=1472 |
[질문]
“허리가 아픈데 디스크 탈출은 없다? 추간판내장증이라는데, 보상받기 어렵나요?”
[답변]
교통사고를 겪은 뒤 허리가 아픈데, 정작 MRI 촬영 결과 디스크가 튀어나온 흔적이 없다고 하면 “그럼 그냥 근육통이겠지” 하고 넘어가기 쉬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추간판내장증’으로 진단되는 사례도 적지 않습니다. 디스크(추간판)가 완전히 탈출된 건 아니지만, 내부 섬유가 찢어지거나 염증이 생겨 통증이 발생하는 상태라서 겉으로는 뚜렷하게 드러나지 않을 수 있거든요.
이 질환도 요통과 함께 엉덩이, 다리 쪽에 방사통이 생기는 경우가 흔합니다. 다만 중증 디스크 탈출처럼 신경을 직접 압박하지 않으니, 그 양상이나 검사 소견이 미묘하게 다를 수 있습니다. 치료는 물리치료나 주사치료, 약물요법 등 보존적 방법이 우선이고, 증세가 심하면 수술까지 고려하는데, 척추유합수술이나 나사못 고정술 등 조금 부담이 큰 시술이 뒤따를 수 있습니다.
문제는 교통사고 배상 과정에서, 보험사 측이 “원래 나이가 들면 디스크가 퇴행하면서 생기는 통증일 수도 있다”거나 “큰 외상이 없는데 왜 추간판내장증이 악화됐다고 하느냐”고 인과관계를 부정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실제로 이 질환은 디스크 퇴행성 변화가 밑바탕이 되고, 사고가 기폭제가 되어 증상을 악화시켰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결국 평소 허리에 아무 문제 없었던 사람이, 사고 직후부터 심한 통증을 호소한다면, 의료기록과 사고 직전 상태 등을 토대로 입증하는 게 중요합니다.
정리하자면, 추간판내장증은 “디스크 탈출이 없으니 안전하다”는 뜻이 아닙니다. 지속적인 요통과 방사통을 유발하는 만성 질환일 수 있으니, 사고 뒤 통증이 이어진다면 MRI나 CT, 혹은 추가 검사를 통해 내장증 가능성을 확인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최선이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