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디스크는 아니라는데, ‘추간판내장증’이라니… 이건 또 뭔가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교통사고 로펌 댓글 0건본문
정경일 변호사의 교통사고 로펌 | |
허리디스크는 아니라는데, ‘추간판내장증’이라니… 이건 또 뭔가요? 자주하는 질문과 답 | |
http://tadlf.com/bbs/board.php?bo_table=page5_2&wr_id=1471 |
[질문]
“허리디스크는 아니라는데, ‘추간판내장증’이라니… 이건 또 뭔가요?”
[답변]
보통 허리 통증이 심해 병원을 가면, MRI에서 디스크(추간판)가 밀려나온 소견이 있는지 가장 먼저 확인합니다. 만약 탈출된 디스크가 신경을 누르지 않았는데도 통증과 엉덩이, 다리 방사통이 나타난다면, 의사는 ‘추간판내장증’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해, 디스크가 확 터져나온 건 아니지만, 내부에 미세한 손상이나 염증이 생겨 통증이 발생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 질환은 크게 보면 디스크 퇴행성 변화의 연장선상에 있다고 볼 수 있어요. 시간이 흐를수록 추간판 내부의 구조가 조금씩 약해지거나, 대사성 이상으로 변성이 심해지면 통증이 시작됩니다. 그런데 꼭 디스크가 탈출돼야만 통증이 생기는 건 아니므로, 검사 상 “뚜렷한 탈출은 없다”는 설명을 들어도 증상이 뚜렷할 수 있지요.
치료는 비수술적 접근이 중심입니다. 물리치료, 약물치료, 혹은 통증클리닉에서 신경차단술 같은 시술을 받으면 어느 정도 호전을 기대할 수 있고, 통증이 극심하거나 오래 지속되는 경우엔 척추유합술 같은 수술적 방법도 고려됩니다. 다만 “퇴행성 변화가 원인일 가능성이 크다”는 점 때문에, 교통사고와의 인과관계를 주장할 땐 기왕증(원래 있던 노화 변화)이 얼마나 기여했는지를 함께 검토하게 됩니다.
결론적으로, 추간판내장증은 MRI에서 확연한 디스크 탈출이 보이지 않아도 심각한 요통이나 방사통이 유발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두시면 좋겠습니다. 따라서 사고 직후 “디스크는 깨끗하네요”라는 말을 들었다 하더라도, 통증이 심하다면 추간판내장증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전문의 진찰을 이어가는 게 안전한 선택입니다.